묘법연화유(妙法蓮華喩)
묘법(妙法)은 마음이요 곧 불법(佛法)이다. 불법은 깊고 또 묘하고 맑고 또 평화로와 그 모양을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몸은 오안(五眼)으로도 능히 볼 수 없고, 사변(四辯)으로도 능히 말할 수 없다. 크다고 하고자하나 어느 구석진 곳에라도 들어가지 못하는 일이 없고, 작다고 하고자하나 어느 큰 것이라도 감싸지 못함이 없다. 있다고 이르고자하나 그 한결같은 모습이 텅텅 비어있고, 없다고 하고자하나 만물이 다 이로부터 나온다.
그러므로 옛사람들이 이를 일러 금강(金剛) 반야(般若) 원각정심(圓覺正心) 심주(心珠) 주인공(主人公)등 가지가지 이름을 붙여 보았으나 그 실(實), 그 체상(體相)은 그 무엇으로도 이름 붙일 수 없으므로 그저 묘한 진리라 하여 묘법(妙法)이라 붙여본 것이다.
그런데 그 묘법은 성덕(性德)이 청묘(淸妙)하여 아무리 더러운 독악중(獨惡中)에 있더라도 조금도 그에 젖어드는 일이 없으므로 더러운 개똥물 못에 나서 거기에 젖지 않고 사는 연꽃과 같다하여 연화(蓮華)에 비유하여 묘법연화(妙法蓮華)라 이른 것이다.
연화는 두 가지 특징이 있다. 처렴상정(處染常淨)이 기일(其一)이고 화과동시(花果同時)가 기이(其二)이다. 먼저 그것은 오탁악세(五濁惡世)에 태어나 그 속에 살면서도 그것에 조금도 물들지 않고 해탈 열반한 부처님과 똑같다.
다른 모든 부처님들이 예토(穢土)를 싫어하고 정토(淨土)를 즐겨하는 까닭에 사바국토(裟婆國土)를 버리고 극락정토(極樂淨土)에 나서 무고안은(無苦安隱)한 생활을 하는데 비하여 부처님은 스스로 예토(穢土)를 자원하여 참고 견디기 어려운 모든 일을 능히 참고 오탁악세(五濁惡世)를 혁명(革命)하여 극락정토(極樂淨土)로 만들도록 원력을 세웠으니 이 어찌 처렴상정(處染常淨)이 아닌가?
또 한 가지 연꽃에는 꽃과 열매가 동시에 맺는 특징이 있다. 모든 꽃이 먼저 꽃이 피고 나중에 열매를 맺는 것인데 이 연꽃은 화과(花果)가 동시(同時)이다. 그런데 이것은 불교에서 이른바 인과(因果)가 동시(同時)의 사상(思想)과 일치되므로 불교에서는 이 꽃을 불교의 상징으로 일컬으는 것이다.
묘법연화(妙法蓮華), 아 그것은 우리의 희망이요, 원이며 이상이다. 연꽃과 같이 물에 젖지 않고 내 마음도 그러하여 부처님께 귀의한다.
'불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복의 소종래(所從來) ★☆ / 옮긴 글 ...꿈꾸는 동안 (0) | 2015.11.25 |
---|---|
능엄에서 오십변마장 (0) | 2015.07.02 |
[스크랩] 능엄에서 50변 마장 (0) | 2014.06.20 |
제사상 서식 (0) | 2012.12.27 |
삶이란 문제들 (0) | 2012.09.20 |